분류 전체보기
-
재귀 쿼리카테고리 없음 2024. 7. 26. 15:56
MA_DEPT NM_DEPT CD_DEPT H_DEPT CD_CC DT_END 총무부001NULLCC01NULL인사부002001CC02NULL재무부003001CC03NULL영업부004002CC04NULL마케팅부005002CC05NULLIT부006003CC06NULL연구개발부007006CC07NULL종료부서008001CC082023-12-31 WITH CTE AS( SELECT NM_DEPT, CD_DEPT, H_CEPT, CD_CC, CONVERT(VARCHAR(100), CD_DEPT) AS DEPTH, 1 AS LEVEL FROM MA_DEPT WHERE(H_DEPT IS NULL OR H_DEPT = '') A..
-
프로시저(procedure)카테고리 없음 2024. 7. 8. 14:48
코드 블록 같은거마이바티스 같은걸 사용하면 쿼리 수정할때 프로그램을 수정해야하기 때문에 귀찮아서도 사용 ex)USE [DKSystem]GOSET ANSI_NULLS ONGOSET QUOTED_IDENTIFIER ONGOALTER PROCEDURE [dbo].[PROJECT_TRACKING_SUM] ( @P_PROJECT_CODE NVARCHAR(4000) ) AS BEGIN SELECT * from Table WHERE EmployeeID = @EmployeeID;end;exec PROJECT_TRACKING_SUM @P_PROJECT_CODE= 'a' 이런식으로 사용함
-
else 사용을 지양해야하는 이유공부/java 2024. 2. 1. 11:44
1. 가독성 향상 : else 문을 피하면 코드가 더 선형적으로 보이고 이해하기 쉬워지다 2. 조기 리턴 : 조건이 충족되지 않을 때 빠르게 함수에서 리턴하는 방식으로 코드를 작성하면 그 이후 코드는 조건이 충족 됐을 때만 실행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어 코드 흐름을 단순화 시킨다 3. 유지 보수 용이 : else 문을 사용하지 않으면 향후 코드 변경 시 조건을 추가하거나 변경하는 것이 더 쉬워집니다 하지만 사용해야하면 해야함,,, 그게 기준이 애매함.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상황 봐 가면서 쓰도록
-
@FeignClient카테고리 없음 2023. 12. 7. 09:07
선언적 웹 서비스 클라이언트 http요청을 보내는 코드를 간소화 하고 가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사용법 1. 의존성 추가 org.springframework.cloud spring-cloud-starter-openfeign implementation platform("org.springframework.cloud:spring-cloud-dependencies:2021.0.5") implementation "org.springframework.cloud:spring-cloud-starter-openfeign" 2. feign 활성화 @EnableFeignClients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Feign을 활성화합니다. 이 어노테이션은 보통 메인 클래스 또는 설정 클래스에 추가합니다. @SpringBootA..
-
jwt 최종 정리공부/기본 2023. 11. 24. 16:32
-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정보 전달에 주로 사용되는 토큰 기반 인증 방식 -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는 보호된 자원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1. 토큰 발급 - keyPairGenerator로 RSA알고리즘을 사용한 공개키/개인키 쌍을 생성, 이를 통해 JWT를 생성 - 생성된 JWT에는 사용자 ID가 주제로 설정, 만료 시간도 설정됩 - signWith 메소드를 통해 RSA알고리즘과 개인키를 사용하여 서명 public class JwtTokenProvider { private KeyPairGenerator keyPairGenerator; private KeyPair keyPair; private PrivateKey privateKey; public JwtTokenProvider() throws Excepti..